밝은 조명, 큰 글씨 활용하고 중간중간 휴식 취해야
[맘스커리어 = 김보미 엄마기자] # 올해 40대에 접어든 A씨. 최근 들어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고 눈이 침침해지는 증상이 있어 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A씨는 "일할 때 모니터를 집중해서 보는 시간이 많기도 한데다 평소에도 휴대폰을 쉴 새 없이 들여다봐서 그런지 요즘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글씨가 선명하게 보이지 않아 정말 답답하다"며 "주변에서 노안이 온 것 같다고 해 안과 검진을 진행해 보니 워낙 고도근시였고 라섹을 진행했기 때문에 근시퇴행과 노안이 같이 오고 있는 상태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A씨를 진료한 안과 전문의는 "몸이 좋지 않거나 모니터를 장시간 보고 있으면 눈이 침침해지기도 한다. 나이가 들면서 눈 근육도 약해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며 "아직 백내장이나 황반 변성은 없기 때문에 치료는 필요 없지만 만약 시력 때문에 생활이 너무 불편하다면 안경을 맞춰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안경을 쓴다고 해서 퇴행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장 좋은 방법은 모니터 보는 시간을 줄이고 눈을 충분히 쉬게 해주는 것"이라고 전했다.
나이가 들수록 시력이 떨어져 생활에 불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눈이 침침하거나 쉽게 피로해지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다가 먼 곳을 쳐다봤을 때 초점이 바로 잡히지 않는다거나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등 사람들이 다양하게 겪는 시력 저하 현상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노화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에 따르면 수정체의 탄성이 감소돼 조절력이 떨어지는 안질환을 노안이라고 한다. 사람은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사물을 볼 때 수정체의 굴절력을 변화시켜야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수정체가 딱딱해지면서 굴절력이 떨어져 근거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조절력 감소는 모든 사람에게서 나타나지만 사람마다 발생 시기나 진행 속도에 차이를 보인다. 보통 시력이 좋아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정시는 40대부터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며 먼 곳이 잘 안 보여 안경을 착용하는 근시는 안경을 벗거나 도수를 낮추면서 노안을 비교적 늦게 인지하게 된다. 반대로 먼 곳은 잘 보이는데 가까운 곳이 잘 보이지 않는 원시는 노안을 더 빨리 느낀다.
노안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는 안경 착용이다. 굴절 검사를 통해 원거리 시력을 교정한 렌즈에 선명한 근거리 시력을 얻을 수 있는 볼록렌즈를 처방받아 착용하면 된다. 안경 없이 먼 곳이 잘 보이는 사람은 근거리용 돋보기안경을 맞추면 되고 먼 곳을 볼 때도 안경이 필요한 환자는 원거리와 근거리용 안경을 각각 따로 맞추거나 이중초점 혹은 다초점렌즈를 사용하면 된다. 노안 교정용 렌즈를 착용하는 방법도 있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35~39세의 약 30%, 40세 이상의 약 70%가 노안을 갖고 있다. 만약 △정상적인 독서 거리에서 글씨나 작은 물체가 잘 안 보임 △피곤하거나 조명이 어두운 곳에서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보기 어려움 △책이나 스마트폰을 멀리 두어야 더 또렷하게 보임 △작은 글씨나 물체를 볼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흐려지고 눈의 피로 혹은 두통을 느낌 △먼 곳과 가까운 곳을 교대로 볼 때 초점 전환이 느림 등의 증상이 있다면 노안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노안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질병관리청은 "주변 조명을 더 밝히면 동공이 축소되면서 초점의 심도가 높아지므로 초기 노안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라며 "컴퓨터 화면이나 스마트폰을 볼 때 글씨가 크게 보이도록 설정하고 근거리 작업 중간중간 눈이 쉴 수 있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맘스커리어 / 김보미 엄마기자 bmkim@momscareer.co.kr
[저작권자ⓒ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