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스커리어=최영하 기자]정부가 이태원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와 관련해 부상자와 유가족, 목격자 등을 상대로 의료와 심리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국가트라우마센터 내에 '이태원사고 통합심리지원단'을 구성하고 유가족 600여 명과 부상자 150명, 목격자 등 총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심리 지원을 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심리 지원 대상자 10명당 1명꼴로 전문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 전문의 2명, 정신건강전문요원 18명, 행정 요원 등 30명이 참여하며 서울과 용산 센터도 인력을 파견한다.
복지부는 이태원 참사 부상자가 입원한 병원에 심리 지원을 위한 협조 공문을 발송하고 있다. 이어 유가족과 부상자 연락처를 파악하고 있다. 심리지원단은 유가족과 부상자를 대상으로 전화상담을 실시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또 사고수습본부 내 장례지원반을 꾸려 지원 등 후속 조치도 진행하고 있다. 장례지원반은 9명 규모의 장례지원팀과 61명 규모의 현장대응팀으로 구성된다. 사상자 소재 각 병원과 장례식장에 복지부 직원이 1명씩 배치돼 의료·심리·장례 지원 및 유가족과 보호자, 환자 등 필요사항을 확인하고 지원한다.
한편 신경정신의학회는 성명서를 통해 "여과 없이 사고 당시의 현장 영상과 사진을 SNS 등을 통해 퍼뜨리는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며 "이런 행위는 고인과 피해자 명예를 훼손하고 2차~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수 국민에게 심리적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시민의식을 발휘해 추가적인 유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현장 영상이나 뉴스를 과도하게 반복해서 보는 행동은 스스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자제하는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