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스커리어 - 순천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 ′여성 재발성 방광염 세 종류 존재′ 세계 최초 검증

  • 비안동21.0℃
  • 흐림장수22.4℃
  • 흐림세종21.4℃
  • 구름많음순창군25.1℃
  • 흐림부산25.5℃
  • 흐림정선군18.9℃
  • 구름많음고흥25.1℃
  • 흐림봉화20.5℃
  • 흐림밀양23.7℃
  • 흐림포항23.5℃
  • 흐림의령군22.1℃
  • 흐림이천20.1℃
  • 흐림강화20.2℃
  • 흐림홍천20.2℃
  • 흐림춘천20.2℃
  • 구름조금강진군25.1℃
  • 흐림동해20.9℃
  • 흐림동두천19.7℃
  • 흐림영주20.6℃
  • 구름많음임실23.0℃
  • 흐림경주시22.8℃
  • 흐림영덕21.8℃
  • 구름많음양산시24.7℃
  • 비북춘천20.2℃
  • 흐림구미22.0℃
  • 흐림의성21.4℃
  • 흐림파주20.1℃
  • 구름많음보성군24.6℃
  • 흐림북부산24.5℃
  • 흐림속초20.6℃
  • 흐림김해시24.1℃
  • 흐림영월19.6℃
  • 구름많음거제25.0℃
  • 비홍성21.0℃
  • 비청주21.7℃
  • 흐림대관령16.8℃
  • 흐림군산23.2℃
  • 흐림서청주20.6℃
  • 흐림청송군21.3℃
  • 비북강릉20.4℃
  • 흐림대전21.7℃
  • 흐림원주19.8℃
  • 구름많음여수25.0℃
  • 흐림강릉20.8℃
  • 흐림인제19.4℃
  • 구름많음제주27.0℃
  • 박무울산22.9℃
  • 흐림함양군22.3℃
  • 흐림양평19.9℃
  • 구름많음통영24.7℃
  • 흐림순천23.4℃
  • 비서울21.1℃
  • 구름많음고창24.7℃
  • 비백령도20.0℃
  • 구름많음해남24.8℃
  • 흐림문경20.6℃
  • 흐림서산20.8℃
  • 구름많음광양시24.0℃
  • 구름많음고산28.2℃
  • 흐림보령24.4℃
  • 구름많음진도군25.5℃
  • 비인천20.7℃
  • 흐림서귀포28.2℃
  • 흐림대구23.2℃
  • 흐림산청22.4℃
  • 구름많음광주25.4℃
  • 구름많음남해23.4℃
  • 구름많음진주23.3℃
  • 흐림금산21.7℃
  • 흐림정읍24.8℃
  • 흐림상주21.0℃
  • 흐림철원19.8℃
  • 구름많음장흥25.2℃
  • 구름많음성산26.7℃
  • 흐림영천22.6℃
  • 흐림전주23.9℃
  • 흐림제천19.4℃
  • 흐림천안20.9℃
  • 흐림보은22.0℃
  • 흐림추풍령21.1℃
  • 흐림충주21.1℃
  • 비울릉도23.3℃
  • 흐림북창원25.4℃
  • 비수원20.0℃
  • 구름많음완도24.7℃
  • 흐림거창21.7℃
  • 흐림고창군24.7℃
  • 구름많음영광군25.2℃
  • 구름많음목포25.7℃
  • 흐림태백18.6℃
  • 구름많음남원23.3℃
  • 흐림창원25.0℃
  • 흐림부여21.7℃
  • 박무흑산도23.3℃
  • 흐림울진21.5℃
  • 흐림부안22.5℃
  • 흐림합천22.6℃

순천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 '여성 재발성 방광염 세 종류 존재' 세계 최초 검증

신화준 / 기사승인 : 2022-05-02 22:33:09
  • -
  • +
  • 인쇄
"항생제 내성 문제로 어려움 겪고 있는 여성 재발성 방광염 치료 실마리 제시"
▲ 왼쪽부터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김영호·김웅빈 교수, 소화기내과 유정주 교수.[사진=순천향대 부천병원]

 

[맘스커리어=신화준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여성 방광염에 대한 종류를 밝혀 향후 치료에 있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뤄낼 것으로 보인다.


순천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Soonchunhyang Microbiome Multi-Disciplinary Study Group·SMS, 단장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김영호 교수)은 여성 재발성 방광염은 단순히 한 종류가 아닌 세 종류의 미생물 생태계가 방광 내에 구성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항생제 내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재발성 방광염 치료'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중요한 발견이다.

지금까지 방광염은 '정상 소변에는 균이 없다'라는 기존 학설로 인해 주로 장 등 외부로부터 균이 역주행해 생긴다고 여겨왔다.

이는 방광염의 주원인 축을 '장-방광 축(gut-bladder axis)'으로 보는 관점으로 현재의 항생제 내성 문제나 재발률 문제를 완전히 설명하기 어려웠다. 

순천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은 현재까지 알려진 장-방광 축이 아닌 '장-방광-질 축(gut-bladder-vagina axis)'을 통해 균주가 이동하므로 방광 내 마이크로바이옴 생태계가 전혀 다르게 구성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크게 세 종류로 △첫째, 장에서 넘어온 '대장균(Escherichia)'이 우세 균주를 이루는 생태계 △둘째, 질에서 질염을 주로 유발하는 '가드넬라 질 균(Gardnerella vaginalis)'이 우세 균주를 이루고 있는 생태계에서 대장균과 상호 작용(Quorum Sensing) △셋째, '유산균(Lactobacillus)'이 우세 균주를 이루는 생태계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영호 연구단장은 "요로감염은 폐렴 다음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고령화 사회로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재발성 요로감염과 항생제 내성은 국가마다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특히 재발성 방광염은 여성 환자에게서 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요로 병원체의 약 80%가 최소 두 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MDR)으로 항생제 가이드라인에 따른 처방에도 불구하고 여성 환자 25~30%에서 방광염이 재발한다. 또 항생제 가이드라인도 국가 간에 이견이 있지만, 병리 생태학적 원인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국제적 협의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질염 균이 방광에 들어가서 직접 병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존에 알려진 방광염 균과 상호 작용해 병을 유발하기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며 "이는 기존 장-방광 축의 세균을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 항생제인 '세팔로스포린과 퀴놀론 계열'에 내성이 생겨 잘 치료되지 않던 환자가 줄어들고, 항생제 가이드라인의 국제적 협의를 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김영호·김웅빈 교수, 소화기내과 유정주·유창범 교수, 진단검사의학과 신희봉 교수, 대장항문외과 신응진 교수 등 다학제 연구진으로 구성된 순천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이 수행했으며 SCI급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Gardnerella vaginalis i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Dysbiosis of the Bladder Microbiome(IF 4.2)'이라는 논문 제목으로 최근 발표됐다.

 

[저작권자ⓒ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화준
신화준

기자의 인기기사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맘스커리어 후원안내

맘스커리어는 경력단절 없는 세상, 저출생 극복, 워라밸을 사명으로 이 땅의 '엄마'라는 이름이 최고의 스펙이 되는 세상, '엄마'라는 경력이 우대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예비사회적기업 언론사입니다. 여러분들의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은행 : 1005-004-582659

주식회사 맘스커리어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