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스커리어 = 김보미 엄마기자] 자녀가 초등 고학년만 돼도 부모는 아이와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사춘기가 찾아오면서 아이들이 어른과의 대화를 피하는 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시기에 책은 아이와 부모의 마음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책을 읽고 나누는 대화는 서로의 생각과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 |
▲[사진=다산북스] |
바바라 오코너의 장편소설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은 초등 고학년 아이와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기에 제격인 작품이다. 하루아침에 아빠와 집이 사라진 열한 살 소녀가 사례금을 받아내기 위해 개를 훔치기로 결심하는 이야기는 가족의 의미와 양심의 무게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가족 해체와 가난이라는 다소 무거운 현실을 다루고 있지만 열한 살 소녀의 천진난만함과 작가의 위트 있는 문체 덕분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바바라 오코너는 UCLA에서 아동문학을 수학한 후 여러 권의 성장소설을 발표하며 전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작가다. 전미 학부모들이 선정하는 '페어런츠 초이스 골드 어워드', 전미 도서관협회가 선정하는 'ALA 노터블 어워드', '메사추세츠 북 어워드' 등을 수상했으며 대표작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은 2007~2008년 무려 14개의 문학상을 휩쓸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동명의 영화로 제작돼 또 한 번 독자들의 마음을 울리기도 했다.
작가는 현실적인 주제를 무겁지 않게 풀어내는 독창적인 스타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작품에는 고난 앞에서 주저앉지 않고 엉뚱하고 기발한 방법으로 상황을 헤쳐 나가는 캐릭터가 항상 등장하는 데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에서도 주인공인 열한 살 소녀 조지나가 바로 그런 캐릭터다.
책의 첫 페이지, 이야기의 시작부터 조지나의 상황은 매우 좋지 않다. 아빠가 어느 날 갑자기 25센트 짜리 동전 꾸러미 세 개와 꾸깃꾸깃한 1달러 지폐만 가득 들어있는 마요네즈 통만 남겨둔 채 집을 떠나고 집세를 내지 못한 엄마와 조지나, 동생 토비는 낡은 자동차에서의 생활을 이어간다. 그런데 하필 친구가 이 사실을 알게 되고 조지나는 비참한 기분에 사로잡혀 엉엉 운다.
그러다 떠올린 것이 바로 개를 훔쳤다가 다시 돌려줘 주인으로부터 사례금 500달러를 받아내는 방법이다. 지긋지긋한 떠돌이 생활을 빨리 끝내고 싶은 조지나는 개를 훔치기 위한 발칙한 계획을 세우게 되고 동생 토비와 함께 실행에 옮긴다. 그러나 계획은 결코 마음먹은 대로 흘러가지 않고 엄마도 몸이 부서져라 일을 하며 애를 써 보지만 생활고는 나아지지 않는다.
주인공의 상황은 어른의 입장에서 봐도 가혹하다. 하지만 열한 살 소녀 조지나는 주눅 들지 않는다. 삶을 포기하지 않고 어떻게든 집을 구할 보증금 500달러를 마련하기 위해 허술하고 엉뚱한 계획을 열심히 진행시켜 나가는 모습이 어떻게 보면 사랑스럽기까지 하다. 그리고 책을 읽는 독자들은 모두 그 소녀가 마음을 바꿔 옳은 선택을 하기를 진심으로 응원하게 된다.
이야기의 힘은 역시 캐릭터에서 나온다. 힘들지만 꿋꿋하게 자신의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조지나, 가끔 눈치 없는 행동으로 누나를 당황시키지만 옆에서 큰 힘이 돼 주는 동생 토비, 아이들을 위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힘겹게 생계를 이어가는 엄마, 수상쩍은 용모를 가졌으나 은근히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무키 아저씨까지. 이야기는 다양한 캐릭터가 한데 어우러지며 더욱 독자들을 몰입시킨다.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은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 읽을 때 더 많은 이야깃거리를 만들어내는 책이다. 특히 조지나가 개를 훔치며 겪는 내적 갈등과 고민은 청소년 독자에게도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돈이 없어 인간다운 생활을 하지 못하게 됐을 때 과연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하게 될까.
이야기는 감당하기 힘든 가난과 결핍이 한 아이의 마음을 어떻게 흔드는지, 아이가 자신의 잘못된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며 어떻게 다시 일어서는지를 섬세하게 그려낸다. 작가는 아이의 시선을 빌려 결국 정직함과 책임 있는 선택이 삶을 지탱하는 힘이라는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끌어내고 있다. 청소년 자녀와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을 읽고 삶의 중요한 가치와 가족의 의미에 대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눠보면 어떨까.
맘스커리어 / 김보미 엄마기자 bmkim@momscareer.co.kr
[저작권자ⓒ 맘스커리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